[가치투자] 필립 피셔의 격언 - 보수적인 투자자는 마음이 편하다

워렌 버핏이 자신의 투자지식의 20%는 필립 피셔에게 왔다고 말할 정도로 가치투자의 기틀을 세운 사람 중의 한 명이며, 성장주 투자 방식을 취했다. 1955년 발굴한 모토로라를 죽을 때까지 보유한 것으로 유명하다.
- 인쇄된 재무 실적을 읽는 것이 결코 투자를 정당화하기에 충분하지 않다.
- 군중의 비관주의는 투자자에게 좋다.
- 12개 이상의 주식을 보유하지 않는다. 대신 그 기업들에 대해서 자세히 알도록 한다.
- 10%~20%의 작은 차익이 아니라 몇 년에 걸쳐 10배 또는 100배에 가까운 차익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.
- 선택한 분야에 대한 많은 지식을 갖어야 한다(피셔는 기술주 중심의 기업 연구에 전념했다)
- 수익성 있는 신제품을 꾸준히 생산한 기업을 찾는다.
- 최고의 결과는 기존의 제품과 관련된 제품을 만들기 위해 연구 개발하는 기업에 투자했을 때 나온다.
- 나쁜 경영진은 필요 이상으로 기업에 많은 현금을 보유한다.
- 배당을 많이 하는 기업보다 배당할 돈을 재투자하는 기업을 찾았다.
- 아무리 다른 조건이 좋은 회사도 경영진이 도덕적이지 않으면 고려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.
- 경영진은 법을 위반하지 않고도 주주를 희생시켜 자신들을 이롭게 할 수 있다.
- 경영진이 입을 다문다는 의심이 들면 그것을 경고 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.
-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외부서 경영자를 모집하지 않아야 한다.
- 기업에서 특히 나쁜 징후는 최고 경영자를 기업 외부에서 모집하는 것이다.
- 분야의 1등 기업은 마케팅 측면에서 우위를 가지고 그 자리를 빼앗기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.
- 대기업이 이익률을 유지하기 위해 특허 보호에 의존하는 것은 투자 약점의 징후이다.
- 해당 산업에서 최고 이익률을 보이는 기업을 찾아라.
- 이익률이 빠르게 증가하는 기업은 피해야 할 기업일 수 있다.
- 최저 비용으로 운영되는 우량 기업의 이익률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.
- 투자 분야에서 가장 큰 수익은 금융업계가 가는 방향과 정확히 반대로 가는 사람들에게 돌아간다.
- 시장이 불확실성을 싫어하므로 상당한 가격 하락은 자주 일어난다.
- 경제 전망에 의존하는 행동은 어리석은 짓이다.
- 몇 달 또는 몇 년 전에 주가에 생긴 일은 현재와 관련성이 없다. 차트 읽는 법을 알 필요가 없다.
- 다각화 할 때는 중복되는 제품 분야가 거의 없어야 한다.
- 분석을 잘못했들 때는 바로 매도한다.